컨설팅을 하다보면 그만두고 싶은 순간이 오기 마련이죠. 여러분의 그만두고 싶은 순간은 언제였나요?

3위

고객사가 너무 먼곳에 위치할 때 / 집이 너무 멀 때

출/퇴근 2-3시간이 걸리면 솔직히 이사(자취)하세요. 그게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. 하지만 저의 집은 사당이라 출/퇴근 시간이 1시간 이상 걸린적이 없습니다. 

 

2위

후배들이 너무 잘할 때 / 나이들어서 감 떨어질 때

스펙도 화려하고 해킹대회 나가서 입상하고 나이도 어린 친구들이 후배로 들어온다면? (그런 친구들은 컨설팅 안오더라구요. 다행입니다.) 저도 30중반을 달려가는 입장이다보니 가끔 감이 떨어졌다라는 느낌을 받습니다. 해킹은 지식과 경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있고 압도적인 센스로 해결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

 

근데 저의 총명함(?)이 술과 함께 희석되어 이제는 보고서에 "진단 기간 내 발견된 취약점 없음"이라는 문구가 자주 남발되는 걸 보니 저도 떠날때가 된건가요? 

 

 

 

 

1위

미래가 불투명할 때

기술 진단(해킹)을 하는 99%의 인원들이 이런 생각을 합니다. IT 분야는 개발/해킹 불문하고 빠른 트렌드, 나이로 인해 회사에서 주는 압박, 처우의 문제, 건강의 문제 등등 이런 복합적인 문제들로 인해 수명이 굉장이 짧습니다. 

 

그러면서 계속 모의해킹을 할 건지 컴플라이언스(관리)를 함께 하면서 담당자로 점프 뛸 건지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죠. 빠르면 2-3년차 부터 이런 생각이 들겁니다. 저도 이러한 고민을 하고 있는 입장이라 조언을 해드릴 수가 없군요.

 

미래가 투명해질려면 시장이 변하거나 제가 변하거나 둘 중 하나겠죠? 근데 시장이 변할리는 없으니.. 제가 변해야겠습니다.. 저도 고민에 대한 해답을 찾는 중입니다. 혹시 이런 건설적인 의견을 나누실 분은 사당으로 오셔서 "사당동 입해킹"을 찾아주세요!

 

앞으로 보안을 하려는 어린이들에게 해주고픈 말이 있습니다.

 

+ Recent posts